안녕하세요 HB입니다~!!
오랜만에 스마트 스토어 강의로 찾아왔습니다~!!
오늘은 드디어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단계를 설명드리고
추가적으로 처음에 결정한 스토어 이름은 한번 변경 가능하다고 말씀드렸죠?
그 스토어 이름 변경 방법에 대해서도 짧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자! 이 강의 이후부터는 상품을 진짜로 등록해야 하는 부분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여러분들 잘 따라오셨는지 점검 한번 해볼까요??
- 사업자등록증
- 통신판매업신고증
- 스마트 스토어 개설
- 내 스토어와 네이버 광고 계정 연동
- 내 스토어와 네이버 애널리틱스 연동
- 저처럼 시작은 부업으로 하실 분들은 어떤 마인드를 가져야 할지 감 잡으셨나요?
- 자신이 돈에 이끌리는 사람인지 좋아하는 것에 끌리는 사람인지 충분히 자문자답해보셨나요?
위 단계가 이전가지 우리가 함께해왔던 일들인데요 아직까지 완성되지 않은 단계가 있으시면
돌아가서 충분히 생각해보시고 단계별로 차근차근 따라와 주세요
이전까지 카테고리 관련된 강의의 마지막 파트인데요
오늘은 카테고리별 브랜딩화 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고
이전까지 카테고리 선정 방법 강의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카테고리를 선정하는 날입니다.
예전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자신의 에고가 뚜렷하시거나 관심 있는 분야가 있다,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해야지 생산성이 올라가는 분들은
사실 카테고리나 아이템 선정 부분은 그냥 넘어가셔도 됩니다.
"나는 이거 할 거야", "나는 이거 하고 싶어"라고 이미 생각하신 분들은
이렇게 하시면 금방 포기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이렇게 카테고리를 찾고 상품의 경쟁강도를 체크하고 하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고역이에요..ㅜㅜ
너무 힘든 노동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좋아하는 거 관심 있는 거 있으신 분들은 그거 하세요
반면, 돈 자체에서 에너지가 나오시는 분들은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것이 그렇게 힘든 일만은 아닐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부분을 잘 생각하고 진행하셔야 한다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네요
오늘은 '카테고리의 브랜딩화 정도'에 대한 내용을 말씀드릴 건데요
이 말은 '한 카테고리 안에 100개의 상품이 있다면 이 상품들 중 몇 개가 브랜드 제품이냐'라는 건데요
우리는 당연히 브랜딩화 정도가 낮은 카테고리에 들어가야겠죠?
우리처럼 초보 판매자들이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이기는 게 쉽지도 않고
브랜드 제품을 도매로 구해서 판매하기도 당연히 힘들겠죠?
고유명사 말고 일반명사를 주로 사용하여 키워드를 사용해야 하는데
제가 주로 이용하는 방법은 "아이템스 카우트"라는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건데요
제가 처음에 사용했을 때는 무료였는데 이제는 일부 유료가 되었네요....ㅠㅠ
일단 처음 들어가면 이런 화면이 나오고요, 좌측 상단의 아이템 발굴을 클릭해주세요
보시면 카테고리를 지정할 수 있는데 1차만 지정해주시고 그 아래의 기간은 1년으로 설정하시고 적용하기를 클릭
아래의 브랜드 제거를 클릭
그런데 브랜드 제거를 클릭하셔도 완벽하게 걸러주지는 못해요
그리고 총 검색 수 순으로 보세요 됩니다.
이렇게 해당 카테고리의 키워드들이 쭉 나오는데요 이렇게 보시면서 키워드들이 브랜드화 정도를 파악하는 겁니다.
이렇게 내리시면서 쭉쭉 보시다가 모르시는 제품이나 키워드는 그냥 사용하지 마시고 반드시 검색해보세요.
브랜드 제품일 경우 함부로 사용하시면 지적재산권을 침해하는 거라 고소당할 수도 있어요!!!
이제는 다른 방법으로 한번 알아볼까요?
네이버 데이터랩에 들어갑니다. 데이터 랩에 들어가는 방법은 저번 강의에도 말씀드렸죠?
쇼핑 인사이트 들어가셔서 다음과 같이 설정해주시고, 조회하기 클릭!
우측에 있는 인기 검색어를 보시고 브랜드화 정도를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량 상위를 브랜드가 잡고 있으면 사실 굉장히 들어가기 힘든 카테고리입니다..ㅠㅠ
여기까지 카테고리의 브랜딩화를 보는 방법을 같이 확인해봤는데요
여기서 꿀팁!!
고유명사 말고 일반명사를 키워드로 사용하라고 말씀드렸죠??
그런데 일반명사인데도 검색량이 갑자기 늘어난 경우 등 특이하게 순간적으로 검색량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그냥 넘어가지 마시고 검색창에 꼭 한번 검색해 보세요
작년의 저 같은 경우, "녹두전"이라는 키워드가 조회수는 엄청 높은데 상품수가 별로 없어서 검색해보니
녹두전이라는 드라마가 방영 중이었더군요...^^;
또 괜찮아 보이는 키워드를 발견해서 사용하시기 전도 검색창에 한번 검색해보세요
예를 들어 아래의 동영상을 보시면 아까의 녹두전이라는 검색어로 검색을 해봤더니
쇼핑 검색이 안보이죠?? 이런 경우에는 구매를 위한 검색은 거의 없다는 말이에요
그러나 크릴 오일이라는 검색어는 두 번째로 쇼핑 검색이 바로 보이실 거예요
이렇게 키워드 별로 쇼핑 검색이 얼마나 위로 올라와있냐도 확인하시면서 키워드를 선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릴게요
여기까지 카테고리를 고를 때 생각해 봐야 할 것에 대해서 쭈욱 살펴보았는데요
제가 빼먹은 부분이 있을 수도 있지만
개인이 카테고리를 지정하는데 이 정도 노력과 시간이 투입되었다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아직 더 시장조사를 한다고 진행을 못한다는 건 시간낭비라고 생각해요 여러분도 얼른 카테고리를 선정하시고
다음 시간에는 어떤 상품을 셀렉해서 어떻게 가져와야 하는지 상품 소싱에 대한 내용을 시작해보겠습니다!!
'자유와 성장을 위한 타이탄의 도구들 > 스마트스토어 쇼핑몰 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스토어]14. 상품을 소싱해보자 2탄, 상품을 가져오는 방법 (0) | 2021.01.07 |
---|---|
스마트스토어]13. 상품을 소싱해보자 1탄,돈이 되는가? 구할 수 있는가? (0) | 2020.12.22 |
스마트스토어]11. 어떤 물건을 팔아야 할까? 3탄, 경쟁강도 분석 실전편! (0) | 2020.12.10 |
스마트스토어]10. 어떤 물건을 팔아야 할까? 2탄, 카테고리 경쟁강도 (0) | 2020.12.10 |
스마트스토어]9. 어떤 물건을 팔아야 할까? 1탄, 돈 VS 좋아하는 것 (0) | 2020.12.08 |